경제뉴스나 신문을 보다보면 기업의 유상증자 혹은 무상증자의 소식이 들려오기도 합니다. 각각은 서로 다른 방식을 취하며 회사마다 하는 이유와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투자자는 이를 보고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할지 고민을 해야할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먼저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중, 무상증자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상증자의 이유, 방식, 그리고 이것이 호재인지 악재인지 영향을 알아보고 주의점과 우리가 취해야할 태도를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증자란?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개념
신주를 발행하여 회사의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증자라고 합니다. 이 때 돈을 받고 새로운 주식을 나눠주는 것을 유상증자, 돈을 받지 않고 나눠주는 것을 무상증자라고 합니다. 유상증자는 돈을 받고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새로운 자금이 기업에 유입되는 반면, 무상증자는 기업에 추가적인 자금유입이 없습니다.
무상증자의 이유
기업에 추가적인 자금유입을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닌데 굳이 무엇을 위해 무상증자를 하는 것일까요? 무상증자는 회사의 총자산에는 변동없이 새로운 주식만 발행되는 형식적 증자입니다. 따라서 자금 조달의 목적보다는 자본구성을 바꾸거나 다른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 실시됩니다. 대표적으로 기업의 이익이 자본보다 많을 경우, 그 이익을 자본으로 돌리기 위해서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무상증자를 할 경우, 회사의 자본은 늘어나고 주가는 낮아집니다. 그렇지만 회사의 총 자산에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회사와 주주에게 이득이 되는 부분이 없습니다.
총 10만 주에다가 주가가 10,000원인 '이지텔러' 회사가 100% 무상증자를 한다고 가정해보면 주식수는 20만 주로 늘어나지만, 주가는 무상증자 비율만큼 하락해 5,000원으로 하락합니다.
10만 주 × 10,000원 = 20만 주 × 5,000원 ∴ 총 자산 변화 없음
무상증자의 방식
기업은 기업 공시자료에 '1주당 신주 배정 주식수'를 기재하여 무상증자를 발표하게 되는데 이 후, 기존 주주에게 '1주 당 신주 배정 주식수'를 비례하여 배정합니다.
앞선 예시에서 '이지텔러' 회사가 '1주당 신주 배정 주식수'를 1로 공시하였고 이 때 주주 A가 100주, B가 10주를 가지고 있었다고 가정해봅시다. 비례 배정이 원칙이기 때문에 A는 신주 100주를 추가로 받고, B는 신주 10주를 추가로 받습니다.
A: 100주 × 10,000원 = 200주 × 5,000원 ∴ A의 총 자산 변화 없음
B: 10주 × 10,000원 = 20주 × 5,000원 ∴ B의 총 자산 변화 없음
무상증자는 호재일까? 악재일까?
앞서 말한 것처럼 무상증자는 회사도 주주들에게도 총 자산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이득이 되는 부분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상증자는 어느정도 호재로 받아들여지는 부분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2가지의 이유가 있습니다.
회사의 재무건전성을 간접적으로 표현한다
기업이 무상증자를 하는 목적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주로 기업의 이익이 자본보다 많을 때 그 이익을 자본으로 돌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다는건 기업이 과거에 벌어들인 이익을 자본금으로 투입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 "과거에 벌었던 이익을 자본으로 넣을 만큼 이익이 충분하고 앞으로도 더 벌 수 있다"라는 의미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이 됩니다.
유동성 증가의 효과
무상증자를 하면 주식 수가 늘어나고 주가가 낮아집니다. 늘어난 주식 수는 유동성을 확보하게 되고 이에 대한 거래가 활발해질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주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해 보이는 현상이 나오기 때문에 소액투자자들의 접근이 늘어납니다.
위 2가지의 이유 모두 시장에서는 긍정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호재로 인식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의점
그렇지만 앞서 말한 것처럼 무상증자는 이론적으로 총 자산의 변화는 없는 행위입니다. 따라서 기업이 무상증자를 발표하면 권리락 착시라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권리락 착시는 무상증자가 호재로 인식되는 경우 중 하나였던 유동성 증가의 효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무상증자 비율만큼 주식 수가 늘어나고 주가가 하락하는 권리락이 발생하면, 실제 시장에서는 가격이 갑자기 큰 폭으로 하락하기 때문에 무상증자 사실을 잊어버리고 주가가 싸 보이는 착시현상을 일으킵니다. 때문에 일시적으로 매수세력이 몰려 주가가 상승하게 되는데 궁극적으로 기업의 가치의 변화가 있었던 것은 아니기 때문에 되려 주가가 다시 하락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작전세력이 휘말릴 가능성도 있게 됩니다.
이렇게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무상증자의 이유와 방식, 그리고 호재인지 악재인지를 판단해보았고 이에 따른 주의점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무상증자는 어느정도 호재에 가까운 소식이긴 하나, 기업의 가치의 변화는 없다는 측면에서 권리락 착시라는 주의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기업이 무상증자를 발표하게 되면 그 이유와 발표하고 나서의 시장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신중히 투자를 결정해야 할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이 기업을 판단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투자, 재테크,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 주식 뒤에 우가 붙으면? (1) | 2023.11.13 |
---|---|
유상증자: 유상증자의 방식, 목적, 유상증자는 호재인가? 주의점 - 이지텔러 (1) | 2023.11.12 |
코스톨라니의 달걀: 경기, 금리 그리고 대중심리와 주식의 관계 (0) | 2023.11.10 |
주식과 환율: 환율의 기본 개념, 환율과 주가의 관계 (1) | 2023.11.09 |
주식과 채권의 차이: 기본개념, 수익과 위험성, 투자하기 좋은 시기 (0) | 2023.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