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잠재의식 활용법 - 처음 만나는 뇌과학 이야기 리뷰

by 이지텔러 2025. 4. 2.
반응형

우리는 매번 술, 담배 끊기, 다이어트를 위해 운동하기, 아침일찍 일어나기 등 좋은 습관을 들이기 위해 다짐하고 노력합니다. 그러나 어느새 포기하고 원래의 행동으로 되돌아간 자신을 발견하곤 합니다.

그럴때마다 사람들은 말합니다. "의지가 부족해서 그런거다" 라고...

그런데 과연 이것이 우리의 의지의 문제일까? 그에 대한 답을 하고자 합니다

 

인간에게 정말 자유의지가 있는 걸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이 무언가 행동하는 것을 자신의 자유로운 의지에 따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침에 일어나고 세수하고 밥을 먹고 출근하고 일하고 퇴근하고 잠을 자는 이 모든 행위 말이다.

그렇기에 내가 원하는 행동을 하지 못한다는 것은 내 의지가 부족했다고 말하는 것이다.

 

의지는 무의식적 사고가 만들어낸 허상

생리학자 해트릭 해거드는 자유의지에 대해 한 가지 실험을 했다.
피험자들에게 뇌파측정장치를 장착 후, 시계를 보여주며 언제든 원하는 시간에 버튼을 누르라고 지시했다.

앞서 말한 우리의 행동이 우리의 의지에 의한 것이라면, 의지 이후 행동이 일어날 것이다.
즉, 뇌에서 버튼을 누르고 싶다는 욕구(의지)가 발현되면 그것을 운동피질에 명령을 내릴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예상 결과
버튼을 누르고 싶다는 욕구 → 운동피질에 명령

 

그러나 결과는 정반대였다.
운동피질이 먼저 활성화가 되고, 1초가 지나서 비로소 의식에서 버튼을 누르라고 명령을 내렸다.
즉, 뇌가 행동을 먼저 준비하고 나서 의식적인 결정을 했다는 의미이다.

 

실제 결과
운동피질 먼저 활성화 → 의식적인 결정

 

위 실험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이것이다.
우리의 일상적인 행위들이 자유의지가 아니라 잠재의식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
결국 우리가 의지라고 부르는 것은 사실 자유의지가 아니라 무의식적 사고가 만들어낸 과정이라는 것이다.

 

잠재된 의식이 바꾸는 미래

여기서 낼 수 있는 결론은 이것이다.
무언가 내 행동을 바꾸고 싶거나 좋은 습관을 기르고 싶다면, 의지로 해결하려 하지 말고 내 잠재의식을 바꾸자.
내 뇌의 무의식이 모든 행동을 결정한다고 한들, 그 뇌의 주인공은 바로 나다.
즉, 잠재의식을 좋은 습관, 생각 등으로 바꾸면 우리의 미래도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잠재의식을 바꿔 원하는 미래를 쟁취하는 법

1.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목표를 찾는다.
2. 그 목표를 매일 상상한다. 그 목표를 이뤘을 때의 나의 모습, 환경, 감정 등 세밀한 모든 부분을 매일 상상하며 그 기쁨과 즐거움을 상상한다.
3.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지금 할 수 있는 가장 작은 행동을 찾아 실천한다. 핵심은 가장 작은 행동이다.

 

결론 및 총평

책에는 우리가 하는 행동, 생각들이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한 뇌의 발현을 다양한 예시를 들며 설명해줍니다.
다양한 예시가 있었지만, 자유의지와 잠재의식에 관한 내용에 대해서만 요약했습니다.
뇌 안에서 어떻게 일어나는지 책을 다 읽고 나서 어느 정도 알았다 한들, 결국 우리의 행동을 이끌어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마지막에 작성한 '잠재의식을 바꿔 원하는 미래를 쟁취하는 법'은 여태 읽은 자기계발 관련 책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 글을 읽는 모두 잠재의식을 원하는 대로 바꾸어서 그 주인공인 나를 원하는 미래로 바꾸길 기원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