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재테크, 경제

주식투자 시기를 예측하는 법: 경기와 주가의 관계, 경기예측방법 - 이지텔러

by 이지텔러 2023. 11. 3.
반응형

주식투자 시기를 탐색하고자 할 때는 전체적인 경기의 흐름 혹은 경제를 알아야 수익을 내는데 더 원활할 수 있습니다. 주식의 각 종목들은 개별적으로 움직이지만 이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것들은 결국 큰 시장의 흐름을 따라갈 수 밖에 없고 그것이 바로 경기의 흐름이기 때문입니다. 즉, 경기의 흐름을 어느정도 읽을 수 있다면 주식투자를 언제 해야할지 예측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투자 시기를 예측하는 법에 대해 경기와 주가의 상관관계, 경기를 예측하는 법을 통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경기와 주가의 관계

경기순환주기

일반적으로 큰 흐름인 경기가 좋아지면 주가도 올라가고, 경기가 침체되면 주가도 하락합니다. 경기는 회복기 · 호황기 · 후퇴기 · 침체기로 순환하는데 길게는 4~5년, 짧게는 6개월~1년 사이클로 변동합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1997년 IMF 경제위기나 2020년 코로나로 인한 팬데믹 경제위기는 경기침체기에 해당했다고 볼 수 있고 반도체 호황으로 인해서 경기가 좋아졌을 때를 경기호황기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경기주가금리의 상관관계

이렇게 큰 흐름인 경기순환주기가 있을 때, 주가는 이러한 경기를 예측하고 3~6개월 앞서 움직이게 됩니다. 아래 그래프에선 경기, 주가, 금리가 시차를 두고 비슷하게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주가는 경기보다 선행하고 금리는 경기보다 후행하는데 주가는 경기를 예측하여 한발 앞서 움직이고, 금리는 중앙은행이 경기를 확인한 후 대응하기 때문입니다.

경기 주가 금리의 상관관계

따라서 주가가 상승하는 시기는 보통 경기침체기에 해당이 됩니다. 

주가는 경기에 선행한다 했으니, 경기가 좋지 않을 때 주가가 먼저 바닥을 찍고 상승하게 되면 경기도 이를 따라올 것입니다. 

즉, 최적의 시기는 경기침체기에 투자를 해야 한다는 것인데 실제론 해당 시기에는 심리적으로 불안과 위기로 가득하기 때문에 선뜻 투자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러한 심리적인 불안을 극복하고 투자를 하는 사람이 큰 수익을 거두게 될 것입니다.

 

경기를 예측하는 법

앞서 말했듯이 경기는 회복기 · 호황기 · 후퇴기 · 침체기로 순환하게 됩니다. 한국은행은 정기적으로 이러한 경기를 수치로 표현한 경기종합지수를 발표를 합니다. 일반적인 사람들이 주위 상황을 보고 경기를 예측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지수를 수치로 보면 좀 더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경기종합지수

경기종합지수로는 선행종합지수, 동행종합지수, 후행종합지수가 있습니다. 경기선행종합지수는 경제 동향을 예측하는 지표로, 일반적으로 경기동행종합지수보다 대략 3~10개월 앞서 움직입니다. 주가도 일반적으로 경제 사이클보다 약 3~6개월 앞서 움직이기 때문에 주가는 경기선행동합지수와 동행할 수도 혹은 한발 앞서 움직인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기종합지수는 한국은행 홈페이지에서도 찾아볼 수 있고, e-나라지표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 홈페이지에서 경기종합지수 찾아보기

 

https://ecos.bok.or.kr/

 

ecos.bok.or.kr

경기종합지수 그래프 보기 (e-나라지표)

 

지표서비스 | e-나라지표

그래프 경기종합지수 추이 지표설명 ■ 경기종합지수 의의° 경기종합지수는 국민경제 전체의 경기동향을 쉽게 파악하기 위하여 경제부문별(생산, 투자,고용, 소비 등)로 경기에 민감하게 반영

www.index.go.kr

 

기업경기실사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

경기를 예측하는 또 다른 방법은 기업경기실사지수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기업경기실사지수는 미래 경제상황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표현하 기업 수와 부정적인 전망을 표현한 기업 수의 차를 계산한 다음 이를 응답한 기업의 총 수로 나눕니다. 이 지수가 100을 초과하면, 경제 전망이 낙관적인 기업이 더 많다는 것을 나타내며, 100 미만이면 경제 전망이 비관적인 기업이 더 많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역시 한국은행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아래 링크에 접속하여 기업경기실사지수를 검색하면 원하는 시기의 업종별 업황 BSI를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 홈페이지에서 BSI 알아보기

 

| 보도자료(목록) | 커뮤니케이션 | 한국은행 홈페이지

한국은행과 관련된 보도자료 제공 게시판

www.bok.or.kr

 

주식투자 시기를 예측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경기와 주가의 관계를 이해하고 경기종합지수, 기업경기실사지수 등의 지표를 통하여 경기 예측을 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면 투자 성공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이 주식투자 시기를 예측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도 투자에 관련한 더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