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포스팅에서는 주식 캔들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활용하여 당일의 추세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주식 캔들은 개별 캔들이 나오는 시점이 언제인지가 중요하고, 무엇보다 하나로 있을 때보다 이들이 모여 연결되었을 때, 큰 흐름에서의 매매시점을 포착할 수 있는 힌트를 줍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 캔들 패턴(연결봉)에 대해서 알아보고 캔들 출현 시점에 따른 매매전략과 캔들 패턴에 따른 매매전략을 세우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캔들 패턴의 의미, 중요성
혹자는 주식은 한 기업에 투자하는 것인데 이러한 캔들 패턴을 왜 알아야 하는지 의문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물론 주식은 한 기업에 투자를 하는 것이고 해당 기업의 재무, 성장성, 지배구조 등에 의해서 주가가 결정되는 것도 맞습니다.
그러나 실제 주가는 이에 추가적으로 반영이 되는 것이 있으니 바로 사람의 심리입니다. 그날의 상황에 따라 때론 흥분해서 추격매수를 하기도 하고, 악재가 나오면 겁을 먹고 투매를 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사람의 심리가 반영되어 나타나는 것이 주식 캔들 패턴이고 이들이 모여 차트를 이루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주식 캔들 패턴이 무엇인지 안다는 것은 시장의 심리를 어느정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식 캔들 패턴에는 다양한 패턴이 있지만 아래에서는 주요한 것들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캔들 출현 시점에 따른 매매전략
이전 포스팅에서 개별 캔들에 대해서 설명을 하였고, 그 중에서도 장대양봉과 장대음봉, 망치형 또는 역망치형 봉은 추세를 전환시켜줄 수도 있는 봉이라고 하였습니다. 개별 봉의 특성과는 달리 어느 시점에 나오느냐에 따라서 주가의 향방에 대해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여기서는 이러한 캔들의 출현 시점에 따른 매매전략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대양봉
바닥권에서 장대양봉이 출현할 때
주가가 연속 하락하다가 멈추고 바닥권에서 장대양봉이 나타나면 주가는 상승 반전을 예고합니다. 이러한 장대양봉은 며칠간 하락세였던 매물들을 소화하고 난 뒤 나타난 양봉이므로 매수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때, 충분한 거래량과 함께 동반된 상승이라면 강력한 매수세력에 의한 상승이라고 판단합니다. 다만, 바로 매수하기 보다는 다음날 소폭 조정된 이후에 매수를 고려해봐야 합니다.
천정권에서 장대양봉이 출현할 때
천정권에서 장대양봉이 출현한다면 조금 다르게 해석됩니다. 이 때는 투자자들이 흥분해서 추격매수를 한 경우에 속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가치보다 과도하게 높게 주가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전히 매수 관점에서 보긴 하지만 추격매수에는 특히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장대음봉
바닥권에서 장대음봉이 출현할 때
하락하던 주가가 추가적으로 큰 폭으로 폭락하는 경우인데, 주가 하락에 대한 두려움으로 겁이 나서 투매를 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때 거래량이 크게 늘어남과 주가가 하락했다면 더 이상 팔 매도세력이 없다고 판단되어 일정 기간 후에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천정권에서 장대음봉이 출현할 때
상승하던 주가가 천정권에서 크게 하락한다면, 주가는 하락 반전을 예고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는 이익을 실현하기 위한 기존 매수세력이 쏟아져 나왔거나 악재가 나온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매도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지만, 상승 추세 중에 조정을 한 것이라면 매수 타이밍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망치형 또는 역망치형 봉
바닥권에서 망치형 봉 출현
하락 추세에 있던 도중 몸통에 비해 3~4배 긴 꼬리가 형성되는 망치형 양봉(또는 음봉)이 출현했다면 하락에 대항하여 강력한 매수세력이 들어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승으로 반전될 가능성이 크므로 매수 관점에서 지켜봐야 합니다.
천정권에서 역망치형 봉 출현
상승 추세에 있던 도중 역망치형 봉이 나타났다면, 지나친 상승으로 인해 주가를 더 올릴 수 있는 힘이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때는 하락으로 반전될 가능성이 크므로 매도 관점에서 지켜봐야 합니다.
주식 캔들 패턴에 따른 매매전략
주식 캔들 패턴에는 크게 상승반전형, 상승지속형, 하락반전형, 하락지속형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해당 형태를 통해 주가의 추세와 변곡점 등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각 형태에는 수많은 패턴들이 있지만 여기서는 대표적인 두가지씩만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상승반전형
상승반전형은 하락 추세에 있다가 상승으로 반전하는 형태의 봉차트입니다. 해당 패턴이 나오면 주가가 하락을 멈추고 상승으로 반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합니다.
상승장악형
두 개의 봉으로 이루어진 패턴으로 하락 추세 마지막의 음봉을 다음 나오는 양봉이 더 큰 몸통으로 음봉을 감싸는 경우입니다.
샛별형
상승반전형 중 가장 중요하고 자주 나오는 패턴입니다. 하락 추세에 있다가 작은 양봉 뒤에 상승 갭을 발생시키면서 장대양봉이 생기는 경우입니다.
상승지속형
상승지속형은 상승 반전 이후에 상승 추세가 계속되고 있구나를 알 수 있는 형태의 패턴들입니다.
적삼병
적삼병은 종가가 상승하는 양봉이 세개 연속으로 발생하는 패턴입니다. 적삼병 후 흑일병이라고 상승추세 속에서 잠깐 음봉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상승추세 속에서 잠깐의 조정을 거치는 매수타이밍으로 잡아볼 수 있습니다.
상승 돌파 갭형
첫 번째 긴 양봉과 두 번째 짧은 양봉이 나온 후에 세 번째 음봉이 전일 시가 아래에서 마감하는 형태입니다. 음봉이 나와 하락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전의 생긴 갭을 메우고 올라가는 상승지속형의 패턴입니다.
하락반전형
하락반전형은 상승 추세가 지속되다가 하락으로 반전하는 형태입니다.
하락장악형
하락장악형은 상승장악형과 정확히 반대의 패턴으로 상승 추세 마지막의 양봉을 다음으로 나오는 음봉이 길게 감싸고 있는 형태입니다.
석별형
샛별형과 정확히 반대로, 상승 추세에 있다가 작은 양봉 뒤에 큰 하락 갭을 발생시키면서 장대음봉이 생기는 경우입니다.
하락지속형
하락지속형은 하락 반전 후에 하락 추세가 지속됨을 알 수 있는 형태의 패턴입니다.
흑삼병
흑삼병은 종가가 하락하는 음봉이 세 개 연속으로 발생하는 패턴입니다. 흑삼병 후 적일병이라고 하락추세에서 투매된 물량을 받는 양봉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를 매도타이밍으로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락 돌파 갭형
상승 돌파 갭형과 정확히 반대되는 패턴으로 첫 번째 긴 음봉과 두 번째 하락 갭의 짧은 음봉이 나온 후에 세 번째 양봉이 이 갭을 메우면서 전일 시가 위에서 마감하는 형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 캔들 패턴(연결봉)에 대해서 알아보고 캔들 출현 시점에 따른 매매전략과 캔들 패턴에 따른 매매전략을 세우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소개한 패턴 이외에도 다양한 패턴들이 있지만 투자를 할 때 이 패턴에 너무 매몰되면 안됩니다. 주가의 추세와 변곡점을 파악하는 데 힌트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본인의 투자원칙을 세우고 지키시길 바랍니다.